티스토리 뷰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sa3cyFMe-h4
Q. 코로나 19, 건셜업 영향은?
- 코로나가 극심해지면 해외 수주 확률이 낮아짐(대면작업필요),
- 집합금지 영향이 생겨 공사 진행이 어려워짐
- 하지만, 일반 소비재 대비 영향이 적을듯?
Q. 집합금지.. 건설 매출 타격?
- 매출에 영향을 줄것이지만 보상절차도 있어서 타격이 덜하다.
- 하지만 코로나 심화시 부정적영향
Q. 국내-해외 수주비중, 기업영향?
- 해외 출국이 불가피해져 코로나 심화시 해외 익스포져가 높은 종목일 수록 추가적인 악영향이 예상
- 삼성엔지니어링, 현대건설
Q.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영향?(철근, 시멘트..)
- 최근 원자재가격이 급등. 결론적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마진 스퀴즈 우려 없음.(대형주 중심)
- 전체 원가중 건축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55%, 건축비 55%에서 자재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20%이므로 전체 원가에서 차지하는 자재비의 비중은 11% 정도.
- 연초 대비 모든 원자재 가격이 30% 급등했다 치더라도 전채 원가에 미치는 영향은 3%에 불과할 것.
- 추가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시 내년에 마진율 영향에는 부정적임.
- 원자재 수급이 더 우려되지만, 대형주의 경우 원자재 수급 이슈가 아직까지 없음.(본사랑 1:1로 계약함)
Q. 건설사 "디벨로퍼" 수익성은?
- 디벨로퍼의 상대적인 개념이 제넥콘
- 디벨로퍼: 자금조달, 매입, 설계, 시공, 운영관리까지 업무를 총괄하는 형태
- 제넥콘: 종합건설이라는 뜻으로 종합건설관리만 맡고 부분별 공사는 하청업자에게 넘겨주어 진행하는 형태
- 최근 트랜드는 디벨로퍼 비중확대
- DL이엔씨, 현대건설, GS건설 등 대형건설사
- 제넥콘은 시클리컬이라는 특성상 경기가 꺾였을 때 수익성이 둔화하지만 디벨로퍼는 꾸준히 증가
Q. 집값 상승이 건설사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 디벨로퍼 관점에서는 부동산경기가 호황일때 수익성이 커짐
- 제넥콘 관점에서는 대형 시공사가 영세 시행사와 이익을 공유하는 추세에 따라 부동산 호황시 긍정적
Q. 향후 부동산 전망?
- 최근 부동산 사이클의 구분이 모호해짐
- 과거: 부동산 가격 상승 -> 분양물량증가(공급증가)-> 가격상승률 둔화
-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 -> 분양물량증가(공급증가)-> 가격 상승률 상승
- 입주물량이 2023년부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단기간에는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이다.
- 건설 주 입장에서는 호황기가 예상된다.
Q. 향후 부동산 공급 정점을 찍을까?
- 2021년호 39~47만호 분양예상
- 저점대비 분양물량 증가로 과거 주택공급사이클과 유사
Q. 건설업 분석 Tip
- 신규수주, 공정률, 원가율 지표로 추적
반응형
'기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보증기간 총정리/ 아반떼, 쏘나타, 그랜저 (0) | 2021.09.24 |
---|---|
[미국주식] 스타벅스(SBUX)의 성장성, 추가적 혁신이 없다는 이유 (0) | 2021.09.04 |
현대차 아이오닉5 로보택시 공개 (0) | 2021.09.02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golang
- ios
- react
- JavaScript
- SWiFT
- ChatGPT
- Python
- go
- 파이썬
- HTML
- Spring
- 주식
- Windows
- 유튜브
- 커널드라이버
- frida
- 투자
- Linux
- JSX
- 스핀락
- CSS
- 생각
- 부동산
- 예제
- reactjs
- WinAPI
- 트렌드
- Frontend
- Backend
- Jav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