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집을 사려면 왠만해서는 대출을 받아야 한다.
이때 주택담보대출이라는 것을 받아야 하는데 여기에 여러가지 조건이 붙는다.
LTV, DSR, DTI가 그것이다.
LTV
LTV는 집값 대비 대출 가능한 금액이다. 즉 시세 대비 몇 %까지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10억짜리 아파트가 담보대출 받을 수 있는 LTV 50%라면 5억까지 대출이 가능하다는 뜻.
단, 아파트 시세는 KB부동산시세, 감정가액, 국세청 기준시와 같은 공신력있는 평가자료를 통해 결정된다.
LTV = 주택담도대출 취급한도 / 주택가격
DTI
DTI는 연소득 대비 대출 상환액(원금+이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소득 5000만원이고 DTI가 50%라면 매년 갚아야할 이자가 연 2500만원을 넘지 않도록 대출 규모가 제한된다.
DTI = (주택담보대출의 연간원리금 상환액 + 기타대출 연간이자 상환액) / 연간 소득
DSR
DSR은 전체 대출에서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DTI와 비슷하지만
DTI는 대출은행에서 자기 은행의 원금이외에 타 은행 대출의 원금은 뺴고 이자만 포함하여 계산하지만 DSR은 타 대출의 원금상환까지 포함하여 계산하게 된다.
DSR = (주택담보대출의 연간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의 연간 이자상환액) /연간소득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 기준 금리인상 연 1.25%.. 영끌족은 무섭다. (0) | 2022.01.17 |
---|---|
12.16 부동산 종합 대책, 도대체 무슨 내용이길래.. (0) | 2021.10.05 |
용적률, 건폐율 이란? (0) | 2021.10.03 |
분양가상한제도 정리 (0) | 2021.10.03 |
[부동산] 지금 집을 사야하는가?, 임장하는 법 (0) | 2021.08.29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SWiFT
- WinAPI
- frida
- 커널드라이버
- reactjs
- 주식
- Spring
- Backend
- Java
- ios
- 예제
- react
- Linux
- HTML
- 생각
- 유튜브
- 파이썬
- Windows
- ChatGPT
- JSX
- 부동산
- golang
- 트렌드
- 스핀락
- go
- 투자
- Python
- JavaScript
- Frontend
- C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