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본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분석과 의견을 기록한 글입니다.

개발자로 일하다 보면, 하루에도 수십 번씩 변하는 서비스 트래픽처럼 변동성이 큰 기술주에 자연스레 관심이 간다. 하지만 내 주식 포트폴리오까지 매일 롤러코스터를 태울 수는 없는 노릇. 그래서 월급의 일부는 꾸준히 배당주에 투자해 안정적인 현금 파이프라인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여러 배당주 중에서 내가 선택한 종목은 바로 SK텔레콤(SKT)이다. '재미없는 주식'의 대명사처럼 여겨지지만, 파고들수록 30대 장기투자자에게 꽤 매력적인 구석이 많았다.

내가 SKT를 선택한 3가지 이유

1. 3개월마다 입금되는 예측 가능한 배당금

SKT 투자의 가장 큰 이유. 바로 '배당'이다. 현재 SKT의 시가배당률은 약 6% 수준으로, 웬만한 은행 예적금 금리보다 훨씬 높다. [1]

  • 안정적인 분기배당: 1년에 네 번, 분기마다 꼬박꼬박 배당금이 입금된다. 개발자에게 익숙한 용어로 비유하자면, 3개월마다 안정적으로 현금을 쏴주는 'Cashflow API' 같달까. [2]
  • 주주환원 정책: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순이익)의 50% 이상을 주주에게 돌려주겠다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어 배당의 예측 가능성이 높다. [3]

물론 주가가 하락하면 배당수익률이 높은 게 의미 없다고 할 수도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가 변동성을 견디며 배당금을 재투자한다면 복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견고한 캐시카우와 AI라는 새로운 성장 동력

SKT의 본업인 통신업은 이제 성장 산업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스마트폰 요금을 내는 한, 절대 망하지 않을 강력한 '캐시카우'다. 시장 점유율 1위라는 해자(Moat)도 튼튼하다.

내가 더 주목하는 것은 이 캐시카우를 바탕으로 'AI 컴퍼니'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는 점이다. [4]

  • AI 피라미드 전략: AI 인프라(데이터센터, AI반도체)부터 AI 개인비서 '에이닷(A.)', 그리고 통신/미디어 등 기존 사업에 AI를 더하는 'AIX'까지, 체계적으로 AI 사업을 키워나가고 있다.
  • 글로벌 진출: 최근 일본의 6,700만 사용자를 보유한 '타임트리' 앱에 AI 기술을 수출하는 계약을 맺었다. [5] 이는 SKT의 AI 기술력이 내수를 넘어 해외에서도 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중요한 사건이다.

3. 마음 편한 낮은 변동성

하루 종일 버그와 싸우며 스트레스를 받는데, 내 주식 계좌까지 스릴 넘칠 필요는 없다. SKT는 대표적인 경기방어주로, 시장이 급락할 때도 상대적으로 주가 방어가 잘 되는 편이다. 이런 안정성은 시장의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주식을 모아갈 수 있는 힘이 되어준다.

개인적인 생각 및 마무리

물론 리스크도 있다.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압박은 계속될 것이고, 알뜰폰의 공세도 무시할 수 없다. AI 사업이 언제쯤 본격적인 수익으로 이어질지도 아직은 미지수다.

하지만 나는 SKT를 시세차익을 노리는 종목이 아닌, '든든한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내 포트폴리오의 방어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 마치 최신 기술 스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도,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LTS(장기 지원) 버전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달까.

이 글은 저의 개인적인 투자 일기일 뿐, 여러분의 투자 결정은 스스로의 판단과 책임 하에 신중히 하시길 바랍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출처 (Sources)

  1. "SKT, 6%대 배당수익률 매력...AI 성과 가시화" - 연합인포맥스
  2. "SKT, 2분기 배당금 주당 830원 확정...분기배당 정착" - ZDNet Korea
  3. "SKT, 순익 50% 이상 주주환원…분기배당 정착" - 아시아타임즈
  4. "SKT, '글로벌 AI 컴퍼니' 도약…AI 피라미드 2.0 공개" - SK텔레콤 뉴스룸
  5. "SKT, 日 타임트리에 206억 투자…AI 에이전트 기술 수출" - 한국경제

#SK텔레콤 #SKT #배당주 #주식투자 #재테크 #30대재테크 #개발자재테크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