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본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분석과 의견을 기록한 글입니다.
아, 오늘 아침 주식 계좌를 보고 한숨부터 나왔다. SK하이닉스는 무섭게 치고 올라가고, 내가 가진 삼성전자는... 아, 팔았지 참. 얼마 전에 '이만하면 많이 먹었다' 싶어서 익절하고 나왔는데, 오늘 이렇게 날아가 버릴 줄이야. 역시 주식은 매도 타이밍이 예술인가 보다. 배가 너무 아프다 ㅠㅠ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뉴스를 찾아보며 이 배 아픈 이유를 되짚어 봤다. 역시 이유는 있었다.
사건의 발단: OpenAI와 삼성의 전방위적 기술 동맹
오늘 주가 급등의 배경을 다시 깊게 파보니, 내가 알던 건 빙산의 일각이었다. 단순한 HBM 공급 기대감이 아니었다. 바로 삼성전자와 OpenAI의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혁신을 위한 포괄적 기술 협력(LOI) 체결 소식이 결정타였다.
지난번 글에서는 그저 'OpenAI가 HBM을 많이 필요로 한다' 정도로만 생각했다. 하지만 삼성 뉴스룸의 공식 발표는 그보다 훨씬 거대한 그림을 보여줬다. 이건 단순한 부품 공급 계약이 아니라, AI 데이터센터의 미래를 함께 설계하는 전략적 기술 동맹에 가까웠다.
협력 분야는 다음과 같다.
- HBM(고대역폭 메모리): 기존에 알려진 AI의 '쌀'. 당연히 포함된다.
- CXL(Compute Express Link): 여러 장치(메모리, CPU, GPU 등)를 훨씬 효율적으로 묶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데이터 병목 현상을 해결할 핵심 기술로 꼽힌다.
- PIM(Processing-in-Memory): 메모리 반도체에 연산 기능을 더해,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하고 전력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AI 연산에 최적화된 차세대 메모리다.
쉽게 말해, OpenAI라는 AI 선두주자가 삼성이라는 종합 반도체 기업과 손잡고, AI를 위한 최고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함께 만들어가기로 한 것이다. 이건 완전히 다른 차원의 이야기였다.
AI 시대의 쌀, 그리고 나의 섣부른 판단
이 공식 발표를 보고 나니, 배 아픔이 더욱 격렬해졌다. 나는 고작 '삼성전자가 HBM 시장에서 하이닉스에 좀 뒤처진다던데...' 하는 단편적인 뉴스에 흔들려 주식을 팔아버렸다. 완전히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만, 그것도 썩은 나뭇가지만 보고 판단한 셈이다.
내가 판 삼성전자는 단순한 HBM 플레이어가 아니었다. HBM은 물론, CXL, PIM 등 미래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모든 메모리 솔루션을 가진 유일한 기업이었고, OpenAI는 바로 그 점을 보고 파트너로 낙점한 것이다. SK하이닉스가 HBM의 강자인 것은 맞지만, 삼성은 AI 데이터센터라는 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올라운더'였던 셈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AI 시장의 성장을 믿었다면, 그리고 삼성전자가 가진 종합 반도체 역량의 무게를 제대로 이해했다면, 절대 팔지 말았어야 했다. 오늘의 주가 상승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삼성전자가 AI 시대의 핵심 파트너로 공식 인정받았다는 강력한 신호탄이었다.
정리하며
오늘의 배 아픔을 교훈 삼아, 다음에는 더 큰 그림을 보는 투자자가 되어야겠다 다짐해본다. 내가 판 주식이 오르는 것은 분명 속 쓰린 일이지만, 덕분에 CXL, PIM 같은 차세대 기술과 AI 산업의 더 깊은 흐름에 대해 공부하게 되었으니... 긍정적으로 생각해야지. (라고 오늘도 정신승리 중)
삼성과 OpenAI의 협력은 이제 시작이다. 앞으로 두 회사가 만들어갈 AI의 미래가 기대되면서도, 내 계좌를 생각하면 눈물이 앞을 가린다. 오늘은 정말이지... 치킨으로는 안 되겠다. 족발 정도는 시켜야겠다.
참고 자료:
- 삼성전자 뉴스룸 (2025.10.02) "삼성, OpenAI와 함께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혁신 주도"
- 국내외 주요 증권사 리포트 및 뉴스 기사 (2025년 10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BM #AI반도체 #OpenAI #엔비디아 #주식투자 #매도후회 #성장주 #기술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달러 환율 1,500원 돌파할까? 2025년 환율 전망과 상승 원인 분석 (0) | 2025.10.10 |
---|---|
불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구원투수로 '단독' 등판한 NHN클라우드, 왜? (0) | 2025.10.02 |
미국 셧다운이 뭐길래? 나와 무슨 상관일까? (2025년) (0) | 2025.10.02 |
일본 증시 왜 이렇게 오를까? 2025년 니케이 지수 폭등 이유 5가지 (ft. 워렌 버핏) (1) | 2025.09.23 |
뉴스에 나오는 '통화스와프', 그게 대체 뭐길래? 30대 개발자가 쉽게 풀어봄 (1) | 2025.09.15 |
- Total
- Today
- Yesterday
- SWiFT
- Java
- 부동산
- 내집마련
- 재테크
- Spring
- ios
- AI
- golang
- HTML
- 카카오톡
- go
- 카톡업데이트
- 재건축
- WinAPI
- 오리역
- Python
- Linux
- 프로그래밍
- CSS
- ChatGPT
- MacOS
- 부동산분석
- JavaScript
- react
- Frontend
- 개발자
- Backend
- 생각
- reactj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